기능주의 vs 제도주의
1. 기능주의적 관점에서의 팀제
기능주의란 사회의 존속을 위해 수행되어야만 하는 부분의 기능들이 있고 이런 기능 수행의 지속성이 구조를 이룬다고 보는 이론이다. 따라서 존재하는 각종 제도나 조직 등은 사회의 유지와 존속을 위해 각기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기능주의 이론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로, 기능주의에서는 사회를 유기체로 인식한다. 즉, 사회를 유기체로 본다는 것은 사회도 생물유기체처럼 한 부분을 전체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가족, 종교, 교육, 정치, 경제제도와 같은 주요 제도들이 사회 전체 혹은 다른 제도에 대해 어떤 기능을 수행한다고 전제하는 것이다.
둘째로, 기능주의는 제도·역할·규범 같은 한 사회의 모든 요소들은 어떤 목적을 가지며 그 사회의 장기적인 존속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셋째로, 기능주의자들은 체제 내의 변동을 환경의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설명한다. 체제는 그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남기 위해 변화를 강요당한다. 종종 이러한 변화는 기능적 분화의 형태를 취한다. 즉, 하나의 구조적 요인은 원래의 단일한 요소보다 더 효과적으로 더 전문화된 기능을 수행할 두 개의 새로운 요소로 나뉘어진다.
또한 기능주의는 모든 사회에는 공통된 존속과 통합을 위한 기능이 존재한다는 것과 이들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나 제도가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팀제를 바라보면 팀제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관료제가 여러 부작용들을 낳게 되고 이러한 부작용들을 보완하고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며 나아가 사회체제의 존속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도로써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능주의적 관점에서의 팀제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매우 합리적이고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2) 제도주의적 관점에서의 팀제 (사회학적 제도주의의 관점)
제도주의란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던 행태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된 이론으로써 ‘제도는 중요하다’ 것을 기본 명제로 하고 있다.
제도주의에서 제도를 바라보는 특징으로는 첫째, 제도란 사회의 구조화된 어떤 측면을 의미하며, 사회현상을 설명할 때 이런 구조화된 측면에 초점을 둔다. 이 때 제도는 개인행위를 제약하며, 제도적 맥락 하에서 이루어지는 개인행위는 규칙성을 띤다고 본다.
둘째, 제도가 인간행위를 제약하지만 개인 간 상호작용의 결과로써 제도가 변화할 수도 있다고 본다. 이 말은 즉, 제도는 인간의 행위를 제약하는 독립변수 이면서 동시에 개인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변화할 수 있는 종속변수라는 것이다.
셋째, 제도는 규칙‧법률 등 공식적 측면을 지닐 수도 있고 규범‧관습 등의 비공식적인 측면을 지닐 수도 있다.
넷째, 제도는 안정성을 지니며, 일단 형성된 제도는 특정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쉽게 변화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서 제도를 바라보는 제도주의 분파에는 역사적 맥락을 중요시하는 역사적 제도주의와 개인적 차원의 합리성과 집단적 차원의 합리성의 균형을 강조하는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 그리고 사회의 규범과 관습 등 비공식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사회학적 제도주의가 있다. 이 중에서 사회학적 제도주의는 제도를 과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는 기능주의적 이론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였다.
사회학적 제도주의에 따르면 현대조직의 제도적 형태나 절차는 과업의 효율적인 수행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그러한 조직형태를 띄는 것이 현존하는 문화적 환경에서 가장적절하다고 평가받음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의 외적 정당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도입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회학적 제도주의는 제도의 공식적인 측면 보다는 규범, 문화 등 비공식적인 측면, 특히 당연시되는 신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제도변화의 원인을 효율성 추구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적절하고 정당하다고 인정받는 구조와 기능을 따라 가는 과정으로서 파악한다. 이러한 이유로 사회학적 제도주의는 결과성보다 적절성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또 사회적 제도주의는 인간의 행위를 관행화 된 것으로 보며 상황에 따른 개인의 해석에 의해 행위가 이루어짐을 강조하며 이 이론체계에서는 ‘무엇이 합리적인가’ 또한 사회적으로 정의된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팀제를 바라보면 기능주의 이론과는 반대로 팀제가 정말 필요하고 과업의 효율성 극대화에 적합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제도가 그 사회의 규범과 관습에 따라 알맞은 형태로 변화한 것이 팀제라는 것이다. 즉, 팀제가 그 사회에 합리적이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팀제는 그 사회의 규범과 관습에 따른 당연한 것이고 그러한 규범과 관습에 의해 합리화 된 것이라는 말이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행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행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공무원 위촉인원수의 제한이 왜 있어야만 하는지. (0) | 2018.04.12 |
---|---|
정치학의 3가지 특성[사회과학,권력비판,사회경영]으로서의 정치학 (0) | 2018.03.11 |
팀제[수평적 조직구조] 의 특성과 장단점 핵심정리! (0) | 2018.03.09 |
관료제[공무원]란 무엇일까요? 특징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0) | 2018.03.08 |
[정보화 사회][정보화 도시][유비쿼터스와 유시티]모두에 대한 놀라운 요약정리 (0) | 2018.03.06 |